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적세그먼트
- 프로세스 메모리 영역
- 클라우드
- 에이블스쿨
- 글작성
- 플러그인 사용법
- 삭제이상
- colaboratory
- 블로그
- 카카오톡 이메일
- 포워드 프록시
- google colab
- 동적세그먼트
- 이진탐색트리
- 다음 이메일
- 삽입이상
- 갱신이상
- 카카오 이메일
- 메모리캐시
- 다음 계정
- 세그멘테이션
- 코랩
- 티스토리
- Python
- 리버스 프록시
- 이전 발행 글 넣기
- Colab
- 데이터 사전
- 티스토리 블로그
- 에이쁠 기자단
- Today
- Total
목록클라우드 (2)
imort 박뉴프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자원을 on demand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on demand : 소비자의 수요가 있을때 즉시 자원을 제공하는 것 클라우드 컴퓨팅 장점 초기 서버 구축비용이 절감된다.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저렴하다. 글로벌한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다. 트래픽 폭주, 감축을 대비하기 위해 인프라를 확대, 축소하기가 쉽다. 안전하고 보안성이 높으며 가용성이 높은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가용성 : 일부 하드웨어에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IaaS & PaaS & SaaS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자원을 가상화하여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방식이다. (A..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각 지역에 PoP(Points of Presence) 서버를 분산 배치해 근접한 사용자의 요청에 원본 서버가 아닌 캐시 서버가 콘텐츠를 전달한다. 넷플릭스나 NC소프트, 카카오게임즈 같은 온라인 게임 기업이 활용중이다. 지연시간을 쥴이기 위해 사용자와 서버의 물리적 거리를 줄여 빠르고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CDN Architecture Push and Pull Push 방식 원본 서버가 새로 업로드된 콘텐츠를 전세계에 위치한 PoP 서버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초기에 비교적 시간이 오래걸리지만 적시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전송오류가 적다. Pull 방식 PoP서버가 원본 서버에서 콘텐츠를 가져오는 방식을 의미한다. 초기 구성이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