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rt 박뉴프

트랜잭션 고립수준 본문

Develop/Database

트랜잭션 고립수준

박뉴프 2022. 11. 30. 14:36

트랜잭션 고립수준이 높을수록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되지만 성능이 낮아진다.

고립수준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는데

 

1. READ UNCOMMITTED

  • commit 하지 않아도 update 된 값을 다른 트랜잭션에서 읽을 수 있다.
  • DIRTY READ, NON 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

 

2. READ COMMITTED

  • commit 되면 다른 트랜잭션에서 읽을수 있다.
  • NON 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

 

3. REPEATABLE READ

  • 다른 트랜잭션이 읽고있으면 수정/삭제할 수 없다.
  • PHANTOM READ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

 

4. SERIALIZABLE

  • 가장 엄격한 고립수준이다.
  • 다른 트랜잭션이 읽고 있으면 수정/삭제/삽입할 수 없다.

 


🔍 블로그 https://parkmj236.tistory.com

🔍 Notion 이력서 https://parkmj236.notion.site/Park-Minji-e4fa8aa44b8c48b582a9082515dbc15e

🔍 Github https://github.com/Park-New-project/Projects


 

'Develop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VAPOINT & TRUNCATE  (0) 2022.10.19
데이터 사전  (0) 2022.10.03
반정규화 (Denormalization)  (0) 2022.08.31
무결성 제약조건  (0) 2022.08.28
이상현상(Anomaly)  (0) 2022.08.2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