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rt 박뉴프

페이징(Paging) &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본문

Develop/Operating System

페이징(Paging) &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박뉴프 2022. 8. 17. 22:58

페이징

- 가상 메모리의 주소공간을 페이지로 분할하고 물리 메모리 공간을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매핑한다.

- 각각의 페이지 크기가 같다.

- 페이징의 경우 외부단편화가 생기지 않지만 내부 단편화가 생길 수 있다.

- 해결하기 위해 페이지를 작게하면 페이지 매핑이 오래걸리게 된다.

 

세그멘테이션

- 가상 메모리를 서로 크기가 다른 논리적 단위인 세그먼트로 분할해서 메모리를 할당한다.

- 세그먼트 각각 크기가 다르다.

- 세그멘테이션의 경우 내부 단편화가 생기지 않지만 외부 단편화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사용하는 이유

- 프로세스에 메모리를 할당했다 해제했다 하면서 단편화가 발생한다.

- 단편화가 발생하면 읽기, 쓰기 수행 속도가 줄어들고 기억장치의 사용가능한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해결해야한다.

- 단편화를 해결하기 위해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 기법을 사용한다.

 

 

 


🔍 블로그 https://parkmj236.tistory.com

🔍 Notion 이력서 https://branch-frog-b20.notion.site/Park-Minji-e4fa8aa44b8c48b582a9082515dbc15e

🔍 Github https://github.com/Park-New-project/Projects


참고

https://parkmj236.tistory.com/11

 

교착상태(Deathlock)

교착상태(Deathlock)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자원 할당을 무한정 대기하는 상태이다. 교착상태 발생조건 상호배제 한 번에 한 개의 프로세스만이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점유와 대

parkmj236.tistory.com

https://parkmj236.tistory.com/15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2022.08.03 HTTP 프로토콜의 비연결성, 무상태 특성을 보완하기위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해야 한다. 비연결성(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한 번 연결을 맺은 후에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끊어버

parkmj236.tistory.com

 

Comments